Android Studio 설치 후 해야 할 일 정리
전 포스팅에서는 Flutter로 Android 앱을 만들기 위해 Android Studio 설치 과정을 정리했다.
이번에는 설치 이후에 Flutter와 Android SDK를 제대로 연결하는 과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나는 지금 VS Code에서 Flutter 앱을 개발 중인 상태다.
1. Android SDK 경로 연결
설치가 끝난 뒤, 아래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해서 Flutter에 Android SDK 경로를 등록해준다.
flutter config --android-sdk "C:\Users\PC\AppData\Local\Android\Sdk"
터미널에 flutter doctor를 입력해본다.
이제 환경 상태를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다:
Flutter SDK | ✅ 정상 |
Android Studio | ✅ 설치됨 |
Android SDK 경로 설정 | ✅ 완료됨 (flutter config) |
Chrome 테스트 | ✅ 가능 |
Visual Studio | ❌ 설치 안 됨 (Android 개발엔 필요 없음) |
Android SDK 구성 | ⚠️ cmdline-tools 누락됨 → 해결 필요 |
Android License | ❗ 미동의 상태 → 해결 필요 |
참고: Visual Studio는 Flutter로 Windows 데스크탑 앱을 만들 때만 필요하다.
나는 Android 앱을 개발해서 스마트폰에 배포할 계획이므로 Visual Studio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2. Command-line Tools 설치
Android Studio에서 cmdline-tools를 설치해준다.
- Android Studio 실행
- File > Settings > Languages & Frameworks > Android SDK
- SDK Tools 탭에서
Android SDK Command-line Tools (latest) 체크 후 Apply
설치가 완료되면 flutter doctor에서 관련 오류가 사라진다.
3. Android SDK 라이선스 동의
라이선스만 남았다면, 아래 명령어를 실행: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
중간에 Accept? (y/N): 메시지가 여러 번 뜨는데,
모두 y 누르고 Enter를 반복하면 된다.
4. 최종 확인
마지막으로 다시 한 번 flutter doctor를 실행해서
Android toolchain 관련 항목이 모두 ✓로 바뀌었는지 확인한다.
Android 앱 개발을 위한 Flutter 환경은 완전히 준비된 상태다.
여기까지 하면 Flutter로 만든 앱을 Android에서 실행하고 배포할 수 있는 개발 환경이 완전히 갖춰진다.
이제는 본격적으로 기능 개발을 이어가면 된다.
'Front-End > flut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Android 앱 에뮬레이터에서 실행하기 – AVD 생성부터 flutter run까지 (1) | 2025.06.28 |
---|---|
Flutter Android 개발을 위한 Android Studio 설치 정리 (0) | 2025.06.28 |
VSCode에서 Flutter 개발 환경 구축하기 (0) | 2025.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