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마다 항상 처음 고민하는 게 있다. "이번에도 기본 구조를 손으로 다 만들까, 아니면 자동으로 만들어줄 방법이 있을까?" 그럴 때 사용하는 게 바로 Spring Initializr다. 이번 글에서는 Spring Initializr가 뭔지, 왜 쓰는지,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지 정리해본다.
Spring Initializr란 무엇인가?
Spring Initializr는 스프링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필요한 기본 구조를 웹에서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도구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build tool, 의존성, 자바 버전 등을 선택해서 `.zip` 파일 형태로 프로젝트를 내려받을 수 있다. 직접 설정파일을 만들거나 디렉토리 구조를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초보자에게 특히 유용하다.
Spring Initializr의 장점
- 시간 절약: 설정 파일과 디렉토리 구조 자동 생성
- 에러 감소: 버전 호환성 자동 설정
- 빠른 테스트: 필요한 의존성만 선택해서 빠르게 실험 가능
- 초보자 친화적: GUI 기반으로 쉽게 선택 가능
Spring Initializr 접속 방법
웹 브라우저에서 아래 주소로 접속하면 된다.
Spring Initializr로 프로젝트 생성하는 방법
내가 자주 사용하는 설정은 다음과 같다.
- Project: Maven (또는 Gradle)
- Language: Java
- Spring Boot: 안정화된 최신 버전 (예: 3.2.0)
- Group:
com.example
- Artifact:
demo
- Dependencies: Spring Web, Spring Boot DevTools, Lombok 등
필요한 설정을 마치고 "Generate"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압축파일이 다운로드된다. 압축을 풀고 VSCode나 IntelliJ에서 열면 바로 개발을 시작할 수 있다.
VSCode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
VSCode에서는 Spring Boot Extension Pack
과 Java Extension Pack
을 설치하면 Spring Initializr와 연동이 된다. Command Palette(⌘/Ctrl + Shift + P)에서 Spring Initializr: Generate Maven Project
를 선택하면, VSCode 내에서 바로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다.
주의할 점
Spring Initializr는 정말 편리하지만, 생성된 코드와 설정을 무조건 신뢰하지는 말자. 예를 들어, application.properties
나 application.yml
같은 설정 파일은 상황에 맞게 수정해야 하고, 의존성도 과하게 추가하면 오히려 빌드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마무리하며
처음 스프링부트를 시작할 때 구조 잡는 게 꽤 부담이었는데, Spring Initializr를 알고 나서부터는 프로젝트 시작이 훨씬 편해졌다. 특히 초반에 구조 잡는 데 시간을 뺏기지 않고, 바로 기능 개발에 들어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아직 사용해보지 않았다면 꼭 한번 start.spring.io에 접속해서 직접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길 추천한다. 다음 글에서는 Spring Initializr로 만든 프로젝트를 어떻게 빌드하고 실행하는지도 정리해볼 예정이다.
'Back-End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Code에서 Spring Boot 개발하기 (2) | 2025.08.05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