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oogle의 Gemini 모델을 터미널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gemini-cli를 설치해봤다.
설치부터 사용까지 흐름이 간단해서 정리해둔다.
사전 준비
Node.js가 설치되어 있어야한다.
https://nodejs.org에서 다운받으면 된다.
1. Gemini CLI 설치
npm install -g @google/gemini-cli
2. 설치 후 메시지
128 packages are looking for funding
run `npm fund` for details
이건 단순히 후원 가능한 오픈소스 패키지가 있다는 알림일 뿐, 설치에는 아무 문제 없다. 무시해도 된다.
3. Google 로그인
사용할 템플릿과 구글 로그인 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오는데 로그인해주면된다.
4. 사용해보기
gemini
터미널이나 vscode에서 gemini를 불러서 사용하면 된다.
vscode에서 코드를 수정해달라고 했는데 조금 느리긴하지만, 잘 수정해준다.
브라우저 없이도 터미널에서 바로 AI에게 물어볼 수 있다는 점이 꽤 편리한 것 같다.
--help 옵션 설명
-p, --prompt | 한 줄짜리 질문을 비대화식으로 입력함 |
-m, --model | 사용할 Gemini 모델 지정 (기본: gemini-2.5-pro) |
-s, --sandbox | 코드 실행을 위한 샌드박스 모드 사용 여부 |
-d, --debug | 디버그 모드 실행 여부 |
-a, --all-files | 폴더 내 모든 파일을 context로 포함할지 여부 |
-y, --yolo | 모든 액션 자동 승인 (일명 YOLO 모드) |
--telemetry | 익명 사용 통계 전송 허용 여부 |
-c, --checkpointing | 코드 편집 내용을 체크포인트로 저장할지 |
-e, --extensions | 사용할 확장기능 명시 |
-l, --list-extensions | 사용 가능한 확장 목록 보기 |
-v, --version | Gemini CLI 버전 확인 |
-h, --help | 도움말 보기 (지금 이 화면) |
반응형
'개발 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커밋 메시지 템플릿 설정하기 (.gitmessage.txt) (0) | 2025.07.13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