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홈 · 개발 도구

Git 커밋 메시지 템플릿 설정하기 (.gitmessage.txt)

by 도라에몽 2025. 7. 13.
반응형

커밋 메시지를 매번 일관되게 쓰는 게 은근히 어렵다.

그래서 Git에서 제공하는 .gitmessage.txt 템플릿 기능을 사용해 보기로 했다.

매번 똑같은 포맷을 복붙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입력창에 메시지 양식을 띄워준다.

1. 템플릿 파일 만들기

전역 또는 프로젝트 별로 사용할 수 있다.

전역용 (여러 프로젝트 공통)

touch ~/.gitmessage.txt

프로젝트 전용

touch .gitmessage.txt

2. 템플릿 내용 작성

# <타입>: <변경 요약>
# 예: feat: 로그인 기능 추가

# 본문 (선택)
# - 변경 이유
# - 어떤 영향을 주는지
# - 관련 이슈: Closes #123

# 타입 예시
# feat     : 새로운 기능
# fix      : 버그 수정
# docs     : 문서 변경
# style    : 포맷팅 변경
# refactor : 코드 구조 개선
# test     : 테스트 코드 추가/수정
# chore    : 설정, 빌드 등 기타 작업

#로 시작하는 줄은 주석이라 커밋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3. Git에 템플릿 등록

전역 설정

git config --global commit.template ~/.gitmessage.txt

로컬(프로젝트 전용) 설정

git config commit.template .gitmessage.txt

설정 확인:

git config --get commit.template

4. 커밋 시 템플릿 사용하기

git commit

→ 자동으로 .gitmessage.txt 내용이 에디터에 뜨고, 그 형식에 맞춰 커밋 메시지를 작성하면 된다.

실제 커밋 예시:

feat: 사용자 프로필 기능 추가

- 프로필 이미지 등록 기능 추가
- 사용자 이름/소개 수정 가능
- Closes #42

5. 커밋 에디터를 VSCode로 바꾸기 (선택)

기본 에디터가 Vim이라면 VSCode로 설정 가능: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code --wait"

6. 마무리

.gitmessage.txt는 커밋 메시지를 더 깔끔하고 일관되게 작성하게 도와준다.

혼자 개발할 때는 습관 들이기에 좋고, 협업할 땐 규칙 공유 수단으로도 유용하다.

작지만 꽤 쓸모 있는 Git 설정 팁.

반응형

'개발 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mini(제미나이) CLI 설치 & 사용법 정리  (2) 2025.07.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