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보기56
슬랙봇으로 클라우드 자동화하기: AI × 인프라의 실전 활용법 AI 기반 클라우드 슬랙봇 만들기: 4단계로 구축하는 방법– 이제 클라우드도 말로 물어보고, 자동으로 조치할 수 있습니다The New Stack 기사에서는 Slack과 AI를 활용해 팀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더 쉽게 조회하고 조작할 수 있는 슬랙봇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단순한 챗봇이 아닌, 조직의 문서와 API, 자동화 워크플로우까지 통합된 인텔리전트 슬랙봇이에요. 왜 클라우드에 슬랙봇이 필요할까?AWS S3 퍼블릭 설정 확인하려고 수십 개 콘솔 탭 열기?Terraform 커밋 후 정책 위반 여부 확인하려고 로그 뒤지기?이런 반복 작업이 쌓이면 DevOps 팀은 과중한 부담을 안게 됩니다. AI를 접목한 슬랙봇은 자연어로 인프라 상태를 물어보고, 자동화 조치를 수행할 수 있어 실시간 운영 효율을 높.. 2025. 7. 17.
개발자에게 AI를 던져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유 – AI 도입, 도구보다 중요한 건 조직 구조입니다The New Stack 기사에서는 요즘처럼 AI가 넘쳐나는 시대에도, 개발자 생산성이 잘 오르지 않는 이유를 짚고 있었습니다.개발 현장의 문제는 단순히 "빠른 코드 작성"이 아니라, 더 깊은 곳에 있는 조직 시스템의 병목과 흐름이라는 점이 인상 깊었어요.핵심 요약: 도구보다 시스템개발자가 AI 덕분에 PR을 빨리 제출해도, 리뷰 대기나 테스트 실패 등으로 시간이 지연됨실제 병목은 코드 작성 속도가 아니라, 테스트 전략 부재, 문서 부족, 팀 구조, 병렬성 부족좋은 AI 도구를 써도,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본질적인 개선이 없다⚠️ ‘우리도 AI 써야 하지 않을까?’라는 착각많은 조직이 “우리는 AI 도입 안 하면 뒤처질 거야”라는 심리로 도입을 강.. 2025. 7. 15.
Hono 프레임워크: Express를 대체할 초경량 웹 프레임워크의 등장 Hono 프레임워크: Express를 대체할 초경량 웹 프레임워크의 등장– Post-React 시대, 가볍고 빠른 마이크로 프레임워크가 뜬다최근 The New Stack 글을 통해 “Hono”라는 웹 프레임워크를 알게 되었습니다.React처럼 무겁지 않고, Express보다 빠르며, Web Standard 기반으로 설계된 Hono는 최근 25,000 GitHub Star를 돌파하면서 점점 주목받고 있는 것 같아요.Hono란 무엇인가요?Hono는 2021년 일본 개발자 Yusuke Wada가 만든 웹 프레임워크로, “작고, 단순하며, 초고속”을 모토로 하고 있습니다.원래는 Cloudflare Workers용으로 개발되었지만, 현재는 Node.js, Deno, Bun, Vercel 등 거의 모든 JS 런타임.. 2025. 7. 13.
AI 시대의 No Code, 정말 필요 없을까? 개발 자동화 트렌드 정리 노코드의 시대는 정말 끝났을까?“이제는 말로만 설명해도 앱이 만들어지는 시대다.”최근 The New Stack에서 노코드 플랫폼과 AI의 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글을 읽었어요.여러 전문가들의 시각이 인상 깊어서, 제 기준으로 정리해보고 생각도 덧붙여봤습니다. No Code는 왜 위기에 처했을까?최근 몇 년간 노코드 플랫폼은 개발 지식이 없는 사람도 앱을 만들 수 있게 해줬죠.하지만 요즘은 GPT 같은 생성형 AI가 자연어만으로도 앱을 만들어주기 시작했어요.이런 흐름을 어떤 사람들은 “바이브 코딩(vibe coding)”이라고 부르더라고요.말로 설명하면 AI가 알아서 앱을 구성해주는 방식이에요.그렇다면 이게 기존 노코드를 대체할까요, 아니면 함께 갈까요?전문가들의 다양한 시선David Mytton (Arcj.. 2025. 7. 13.
반응형